MENU

지카 감염 임신 쥐, 태아 피해 심각, 소두증은 빙산의 일각

지카 바이러스가 모체의 태반을 넘어 태아에 감염될 수 있다는 사실이 동물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됐다.
 
특히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임신 쥐가 낳은 새끼 쥐는 머리가 작고 세포가 계속 죽으며, 눈에도 장애가 생기는 등 심각한 문제들이 한둘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.
 
미국과 브라질, 세네갈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어미 쥐가 낳은 새끼도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돼 여러 가지 신체적인 결함을 지니고 태어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‘네이처'(Nature) 11일에 발표했다.
 
연구팀은 새끼를 밴 쥐에게 지카 바이러스를 감염시켰더니 새끼 쥐는 마치 소두증 아기처럼 정상보다 머리 크기가 작았다.
 
지난해 5월 브라질에서 지카 바이러스 환자가 처음 나온 뒤 지카 바이러스 환자 수와 소두증 아기의 수가 함께 증가하며 지카 바이러스가 소두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. 지난달에는 브라질 연구팀이 줄기세포와 뇌 유사조직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지카 바이러스가 소두증을 유발한다는 것을 입증하기도 했다.
 
이번에는 동물 실험으로 임신부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소두증 아기를 낳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.
 
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가 낳은 새끼 쥐는 몸 크기도 작았다. 또 눈에 장애가 있거나 몸에서 세포가 멈추지 않고 죽는 등 다른 이상 증상도 보였다.
 
앨라이슨 무트리 미국 UC샌디에이고 교수는 “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어미 쥐의 자궁에 있는 태아 쥐는 잘 성장하지 못했다”며 “지카 바이러스로 인한 문제 중 ‘소두증’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”이라고 전했다.
 
한편 같은 날 국제학술지 ‘셀'(Cell)에도 유사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.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임신한 쥐에게 지카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면 태아에 바이러스가 전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. 연구팀은 또 지카 바이러스가 어미 쥐의 태반에 침범해 손상을 준다는 것도 밝혔다.
 
연구팀은 “태반은 엄마에서 아기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하지만 지카 바이러스의 경우는 이를 뚫고 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”고 설명했다.
 
[연합뉴스 : http://news.naver.com/main/read.nhn?mode=LSD&mid=shm&sid1=104&oid=001&aid=0008394929]

Share Button

Written by:

Published on: May 11, 2016

Filled Under: World

Comments are closed.